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Locking Read
- text
- Lock
- Synchronized
- iterable
- MVCC
- 가비지 컬렉터
- 스프링
- gc
- Varchar
- 백엔드
- 데이터 타입
- 가비지 컬렉션
- jpa
- Di
- 자바
- MySQL
- 동시성 문제
- foreach
- db
- reflection
- iterator
- CAS
- 동시성
- java
- Atomic Type
Archives
- Today
- Total
과정을 즐기자
static 변수와 static 메소드 본문
static 변수
static 변수를 사용하는 목적에는 2가지가 있다.
- 메모리의 효율
- 공유의 목적
class Counter {
static int count = 0;
Counter() {
count++;
System.out.println(this.count);
}
}
public class Sampl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Counter c1 = new Counter();
Counter c2 = new Counter();
}
}
위와 같은 코드를 생각해보자. static 변수를 사용하면 count를 공유할 수 있다. static 변수가 없었으면 new Counter()로 객체를 생성할 때
count가 1 늘어나지만 공유되지는 않아 계속 만들어도 count == 1이다. 이렇게 공유의 목적으로 static을 사용할 수 있다.
또한 static 키워드를 붙여 메모리 할당을 한번만 하게해서 메모리 사용에 이점도 있지만 공유가 주된 목적이다.
static 메소드
class Counter {
static int count = 0;
Counter() {
count++;
System.out.println(count);
}
public static int getCount() {
return count;
}
}
public class Sampl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Counter c1 = new Counter();
Counter c2 = new Counter();
System.out.println(Counter.getCount());
}
}
보통은 메소드를 만들면 객체를 생성해서 그 객체를 이용하여 메소드를 호출한다.
하지만 static 메소드는 위와 같이 Counter.getCount()로 클래스를 이용하여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가 Call By Reference가 아닌 이유 (0) | 2023.08.05 |
---|---|
enum class로 상수를 관리해야하는 이유 (0) | 2023.06.22 |
Equals와 HashCode 비교 (0) | 2022.12.13 |
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(0) | 2022.11.10 |
Call by Value, Call by Reference (0) | 2022.10.25 |